오프라인에서 작업하는 경우가 많아, 서버 초기 패키지 설치가 안되어 있을때가 자주 있었다.
그럴때 패키지 설치하기 위해 온라인 되는 환경에서 해당 패키지를 rpm으로 다운받은 후 파일을 옮겨 설치하는 경우가 많은데, 의존성 패키지에 의해 설치가 안되는 경우가 있다.
그럴때 하나하나 다운받아 옮겨서 설치하는거보다 한번에 의존성 패키지까지 다운받아 한번에 옮겨 설치가 훨씬 편할 것이다.
해당 글은 오프라인환경에서 패키지 설치하는 방법을 다루었다.
yumdownloader
1. yumdownloader를 사용하기 위해선 먼저 yum-utils 를 설치해야한다.
sudo yum install yum-utils
2. 온라인 환경에서 패키지 rpm 다운로드
yumdownloader --downloadonly --resolve [패지키명]
--resolve 는 의존성 패키지까지 같이 설치되는 옵션이다.
3. 다운 받은 rpm을 오프라인 환경 서버에 옮겨준다.
4. rpm 패키지를 설치한다.
sudo yum localinstall *.rpm
dnf
1. 온라인 환경에서 패키지 rpm 다운로드 (의존성 패키지 까지 같이 다운로드 된다.)
sudo dnf install [패키지명] --downloadonly --downloaddir=.
다운로드 받을려고 하는 패키지명을 적어주면 된다. downloaddir 은 rpm 파일 저장위치를 정할 수 있다.
2. 다운 받은 rpm 를 압축 후 오프라인 환경 서버에 옮겨준다.
3. 압축 해제 후 해당 패키지를 설치한다.
sudo dnf localinstall *.rpm --allowerasing
모든 패키지를 설치해준다. allowerasing 옵션은 기존에 있던 패키지를 삭제하고 설치하는 패키지 버전으로 다시 설치하는 옵션이다.
'리눅스(Linux)' 카테고리의 다른 글
[CentOS7] Yum 오류 해결법(Could not resolve host: mirrorlist.centos.org) (0) | 2025.03.25 |
---|---|
[Centos7] chrom 설치시 문제 해결 (0) | 2022.08.05 |
[Linux] 리눅스 ^M 제거 방법 (0) | 2021.08.04 |